​​韓 국가총부채 6천200조원 첫 돌파…GDP의 2.5배 달해 > 공지사항

본문 바로가기

Customer Center

고객센터 우리는 끊임없는 혁신과 전문성으로 세계 시장을 선도하는 포워딩, 수출입 무역대행 종합무역회사입니다.
  • scroll down

공지사항

​​韓 국가총부채 6천200조원 첫 돌파…GDP의 2.5배 달해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천우글로벌
댓글 0건 조회 110회 작성일 25-03-21 10:48

본문

韓 국가총부채 6천200조원 첫 돌파…GDP의 2.5배 달해

가계·기업·정부 빚 모두 늘어…1년 사이 총 250조원 증가

 

6F8971958AD44163AB263AB06D1F1F91
[연합뉴스 자료사진]

 

우리나라 가계·기업·정부부채를 모두 더한 이른바 '국가총부채' 규모가 6천200조원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국제결제은행(BIS)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지난해 3분기 말 원화 기준 비금융부문 신용은 6천222조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보다 약 250조원(4.1%), 전 분기보다 약 55조원(0.9%) 늘어난 수치다.

 

이 중 기업부채는 2천798조원, 가계부채는 2천283조원, 정부부채는 1천141조원 등으로 나타났다.

 

비금융부문 신용은 국가 간의 비교를 위해 자금순환 통계를 바탕으로 주요 경제 주체인 가계와 기업, 정부의 부채를 합산한 금액이다.

 

통상 국가총부채 또는 총부채로 지칭한다.

 

총부채 규모는 코로나19 팬데믹 때인 지난 2021년 1분기 말 5천조원을 처음 넘어섰고, 그 후로도 지속 증가해 2023년 4분기 말 6천조원을 돌파했다.

 

부문별 부채 흐름을 보면 정부부채 비중이 가장 낮았지만, 최근 증가율은 가장 높았다.

 

정부부채는 2023년 3분기 말 1천20조원에서 지난해 3분기 말 1천141조원으로 불과 1년 사이 약 120조원(11.8%) 급증했다.

 

같은 기간 기업부채는 약 80조원(2.9%), 가계부채는 약 46조원(2.1%) 각각 늘었다.

 

다만, 국내총생산(GDP) 대비 총부채 비율은 다소 하락하는 추세다.

 

지난해 3분기 말 GDP 대비 총부채 비율은 247.2%로, 지난 2021년 2분기 말(247.0%)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 비율은 2023년 2분기 말(252.9%)을 정점으로 하락 전환한 뒤 5분기 연속 내림세를 이어왔다.

 

부문별로는 GDP 대비 기업부채 비율이 2023년 3분기 말(114.7%) 이후 4분기 연속으로 하락해 지난해 3분기 말 111.1%까지 떨어졌다.

 

가계부채 비율도 2023년 3분기 말(94.5%)에서 지난해 3분기 말(90.7%)로 4분기째 내렸다. 2020년 1분기 말(90.0%) 이후 최저치다.

 

정부부채 비율의 경우 절대 수준은 낮지만, 하락 추세는 상대적으로 뚜렷하지 않았다. 2022년 4분기 말 41.5%에서 2023년 1분기 말 44.1%로 크게 뛰었고, 지난해 1분기와 2분기 말 각 45.4%, 3분기 말 45.3% 등으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연합뉴스 제공]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업체명 : (주)천우글로벌
대표자 : 이홍래
사업자 : 206-86-66055
주소 : 서울시 성동구 상원1길 26 서울숲 A타워 704호TEL : 02-499-0062
FAX : 02-465-6597
E-mail : jhson@cheonwooglobal.com

Copyright © (주)천우글로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