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협 "미국 관세로 대미 수출 줄었어도 글로벌 수출은 증가" > 공지사항

본문 바로가기

Customer Center

고객센터 우리는 끊임없는 혁신과 전문성으로 세계 시장을 선도하는 포워딩, 수출입 무역대행 종합무역회사입니다.
  • scroll down

공지사항

​​무협 "미국 관세로 대미 수출 줄었어도 글로벌 수출은 증가"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천우글로벌
댓글 0건 조회 62회 작성일 25-09-30 09:59

본문

무협 "미국 관세로 대미 수출 줄었어도 글로벌 수출은 증가"

"반도체·의약품 관세 현실화 땐 단기적으로 대미 수출 선수요 예상"

 

31CD9DA42ECA4FFC94FB5A5866AA208E
경기도 평택항에 수출용 자동차가 세워져 있는 모습[연합뉴스 자료사진]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본격적으로 시행된 이후 미국의 수입이 크게 둔화했음에도 글로벌 수출은 증가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무역협회는 29일 '미 관세 정책 이후 세계 수출 물동량 변화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미국이 4월 상호관세 등 관세 정책을 본격적으로 펴기 시작하고 나서 미국의 수입은 눈에 띄게 둔화했다고 밝혔다.

 

미국의 대세계 수입은 올해 1∼3월 24.6%, 18.4%, 31.6%로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하지만 4월 상호관세 정책이 구체화하고 전 세계를 대상을 10%의 '보편 관세'가 붙기 시작하면서부터 증가율이 2% 미만으로 뚝 떨어졌다.

 

869737678E884452AF79B161C67F2BF7
세계 수출물량 및 미국 수입물량 증가율[한국무역협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관세가 미국의 수입 둔화로 이어지는 이 같은 경향은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라 품목별 관세가 붙은 자동차(4월 3일), 자동차 부품(5월 3일), 철강·알루미늄(3월 12일)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났다.

 

그러나 무역협회가 4월 이후 중국, 캐나다, 멕시코, 독일, 일본, 대만, 베트남, 한국 등 8개 국가·지역의 무역량을 분석한 결과 미국의 수입 둔화 흐름과는 달리 글로벌 수출 물량은 오히려 증가세가 확대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무역협회는 이 같은 현상을 두고 미국의 관세 현실화로 주로 미국 외 지역으로 수출 물동량이 상대적으로 확대되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상호관세와 자동차, 철강 등 미국의 관세 조치 발표를 전후로 한 교역량 변화 흐름을 분석한 결과, 미국의 관세 정책 발표 직후 1주일에는 세계 물동량이 25.9% 증가하지만 관세가 시행되고 난 뒤 1주일 동안에는 20.8% 감소하는 등 미국의 정책이 물동량의 일시적 등락을 촉발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무역협회는 이 같은 물동량 변화가 예고된 미국의 관세를 회피하고자 하는 밀어내기식 수출에 따른 결과로 보면서 향후 반도체·의약품 대상 관세가 현실화할 경우 단기적으로 이들 품목의 수출 선수요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고 예상했다.

 

무역협회는 이런 가능성과 관련해 "완충 재고를 운용하고, 환율·운임 급등에 대비해 보험·헤지 등 리스크 관리 수단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며 "정부도 관세 동향 상시 모니터링 및 핵심 정보의 신속한 제공을 통해 기업의 선제 대응을 지원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제공]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업체명 : (주)천우글로벌
대표자 : 이홍래
사업자 : 206-86-66055
주소 : 서울시 성동구 상원1길 26 서울숲 A타워 704호TEL : 02-499-0062
FAX : 02-465-6597
E-mail : jhson@cheonwooglobal.com

Copyright © (주)천우글로벌 All rights reserved.